티스토리 뷰
오늘 포스팅은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대만 수도, 면적, 인구, 민족, 언어, 종교, 기후 총정리
대만 무역 통관 절차, 주의할점, 주요 통관업체, 포워딩업체 총정리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은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정리된 자료임을 알려드립니다. 보다 최신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에 대한 자료는 포스팅 본문에 남긴 대한민국 외교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외교부 홈페이지는 www.mofa.go.kr 입니다.
저희가 오늘 함께 살펴볼 주제는 대만과 한국 간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자료는 포스팅 작성일을 기준으로 정리되었으며, 대한민국 외교부의 정보를 참고하여 제공됩니다. 그러므로 최신 정보를 원하시는 경우, 외교부의 공식 홈페이지인 www.mofa.go.kr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만과 한국은 꾸준한 무역 파트너로서 긴밀한 경제적 연결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국 간의 무역은 반도체, 전자 제품,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경제적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만과 한국의 수출입 현황 및 주요 수출입 품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현재의 상황과 동향을 알아보면서, 두 나라 간의 경제적 파트너십이 어떻게 발전되고 있는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
개요 및 동향
대만과 한국은 서로간의 무역 파트너로서 밀접한 경제적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만은 한국의 10대 무역 파트너 중 하나로, 2022년 기준으로 연간 무역 규모는 545억 달러에 달합니다. 이는 한국 전체 무역 규모의 3.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대만은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호주에 이어 한국의 다음으로 중요한 무역 파트너로 나타납니다. 특히, 2022년 대만과의 교역액은 사상 처음으로 5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400억 달러를 돌파한 지 1년 만에 이루어진 성과입니다.
대만과의 연간 수출 규모는 2022년 기준으로 262억 달러이며, 수입은 283억 달러입니다. 이는 각각 대만의 수출이 역대 세 번째, 수입이 역대 두 번째로 기록된 수치입니다. 또한, 10년 동안(2012년 대비) 대만과의 무역은 꾸준히 성장하여 수출은 110억 달러, 수입은 140억 달러가 증가하였습니다.
대만이 한국의 연간 전체 수출 및 수입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022년 기준으로 3.8%, 3.9%입니다. 대만은 한국의 수출 및 수입 대상국 가운데 각각 6위에 해당하며, 양국 간의 경제적 교류와 협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한국의 對주재국 교역 현황
한국의 대만과의 교역 현황은 최근 몇 년간 변동이 크고, 특히 2023년 10월 기준으로는 수출과 수입 모두 감소하면서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 10월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대만 수출액은 163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3% 감소하였으며, 수입액은 약 204억 달러로 15.6% 감소하였습니다. 특히 수출이 수입보다 가파른 감소세를 보여 무역수지는 4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최근 10년간(2013~2023년 10월) 대만과의 교역에서는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해가 많았습니다. 흑자를 기록한 해는 2013년, 2018년, 2021년에 그쳤으며, 이들 해에 한국의 대만과의 무역이 비교적 호조를 보였습니다.
아래는 한국의 대만과의 교역 현황을 나타낸 표입니다.
한국의 對주재국 교역 현황표
(금액 : 백만$) | |||
연도 | 수출액 | 수입액 | 무역수지 |
2019 | 15,666 | 15,718 | -52 |
2020 | 16,465 | 17,837 | -1,372 |
2021 | 24,285 | 23,486 | 799 |
2022 | 26,198 | 28,275 | -2,077 |
2023 | 16,321 | 20,360 | -4,039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2023년 11월 기준)
이를 통해 한국과 대만 간의 무역 관계가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양국 간의 경제적 협력과 교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한국의 주요 수출입 품목 현황
반도체는 대만과의 무역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10월 누계 기준, 반도체(MTI 4단위 기준)가 對대만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1%이며, 對대만 수입에서는 80.0%를 차지했다. 반도체를 MTI 6단위 기준으로 세분해서 살펴보면 구조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수출에서는 메모리 반도체와 대표적인 비메모리 반도체인 프로세서·콘트롤러의 비중이 각각 34.9%와 30.5%로 거의 비슷했으나, 수입에서는 프로세서·콘트롤러의 비중만 69.3%에 달했다.
2022년에는 상위 10대 수출품목에 의약품과 철 구조물이 진입한 점이 특징이라면, 2023년에는 10월 누계 기준으로 축전지가 순위권에 들어온 점이 눈에 띈다. 에너지 저장, 충전 관련 이차전지 시장 확대 추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022년에 4위를 차지했던 의약품은 코로나19 관련 특수가 줄어들면서 20위권 밖으로 밀려났으며, 철 구조물은 11위로 순위가 낮아졌다. 건설경기 부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對주재국 상위 10개 수출품목(최근 2년)
(금액 : 백만$)
No | 코드 | 품목명 | 2022년 | 2023년 (10월) | ||
(MTI 4단위) | 수출금액 | 수출증감률 | 수출금액 | 수출증감률 | ||
1 | 8311 | 집적회로반도체 | 12,091 | 17 | 7,526 | -27 |
2 | 2120 | 석유화학중간원료 | 894 | -9 | 603 | -23 |
3 | 2110 | 기초유분 | 694 | -16 | 565 | -6 |
4 | 8343 | 인쇄회로 | 941 | 15 | 514 | -38 |
5 | 1332 | 경유 | 628 | -46 | 504 | 4 |
6 | 7322 | 반도체제조용장비부품 | 463 | 13 | 346 | -9 |
7 | 7411 | 승용차 | 228 | 45 | 246 | 47 |
8 | 8352 | 축전지 | 221 | 191 | 219 | 24 |
9 | 7321 | 반도체제조용장비 | 526 | 0 | 217 | -53 |
10 | 2289 | 기타정밀화학원료 | 276 | -20 | 196 | -16 |
한국의 對주재국 상위 10개 수입품목(최근2년)
(금액 : 백만$)
No | 코드 | 품목명 | 2022년 | 2023년 (10월) | ||
(MTI 4단위)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
1 | 8311 | 집적회로반도체 | 19,418 | 33 | 14,454 | -12 |
2 | 7152 | 광학기기부품 | 541 | 2 | 432 | -5 |
3 | 8313 | 개별소자반도체 | 707 | -25 | 423 | -30 |
4 | 8343 | 인쇄회로 | 890 | 12 | 398 | -48 |
5 | 7321 | 반도체제조용장비 | 360 | 13 | 312 | 14 |
6 | 2190 | 기타석유화학제품 | 187 | -35 | 213 | 28 |
7 | 8131 | 컴퓨터 | 186 | 36 | 149 | -5 |
8 | 6222 | 동조가공품 | 176 | -18 | 140 | -9 |
9 | 2289 | 기타정밀화학원료 | 250 | -11 | 137 | -37 |
10 | 8138 | 전산기록매체 | 142 | 4 | 137 | 12 |
한국의 주요 수출입 품목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도체가 대만과의 무역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 누계 기준으로 반도체(MTI 4단위 기준)가 대만과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1%이며, 수입에서는 80.0%를 차지했습니다. 반도체를 MTI 6단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수출에서는 메모리 반도체와 프로세서·콘트롤러의 비중이 거의 비슷하지만, 수입에서는 프로세서·콘트롤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2022년에는 상위 10대 수출품목에 의약품과 철 구조물이 진입한 반면, 2023년에는 축전지가 순위권에 들어온 것이 특징입니다. 에너지 저장 및 충전 관련 이차전지 시장의 확대로 인해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의약품은 코로나19 관련 특수가 줄어들면서 순위가 낮아지고, 철 구조물은 건설 경기의 부진으로 영향을 받았습니다.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 관련 FAQ
아래는 대만과 한국 간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에 관한 자주 묻는 질문 10개입니다.
1.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은 어떠한가요?
-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은 꾸준히 활발한 편이며,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도 다양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대만과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은 무엇인가요?
- 대만과 한국 모두 반도체, 전자제품, 자동차 및 부품, 석유화학 제품 등을 주요 수출품목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3. 대만에서 한국으로의 주요 수출품목은 무엇인가요?
- 대만에서 한국으로 주로 수출되는 품목에는 반도체 부품, 전자 제품, 섬유 제품, 석유화학 제품 등이 포함됩니다.
4. 한국에서 대만으로의 주요 수출품목은 무엇인가요?
- 한국에서 대만으로 주로 수출되는 품목에는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기계 및 장비, 의약품 등이 포함됩니다.
5.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규모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규모는 연도별로 변동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6. 대만과 한국의 무역 파트너는 어디인가요?
- 대만과 한국의 무역 파트너로는 중국, 미국, 일본, 독일 등이 주요합니다.
7.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수지는 어떠한가요?
-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수지는 연도에 따라 흑자와 적자를 오가며, 수출과 수입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8. 대만에서 수입한 제품 중 어떤 것이 한국에서 생산되나요?
- 대만에서 수입한 제품 중에는 한국에서 생산된 반도체, 전자 제품, 자동차 부품 등이 있습니다.
9. 한국에서 수입한 제품 중 어떤 것이 대만에서 생산되나요?
- 한국에서 수입한 제품 중에는 대만에서 생산된 반도체 부품, 전자 제품, 석유화학 제품 등이 있습니다.
10.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관계는 앞으로 어떻게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 대만과 한국 간의 무역관계는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분야에서의 교류를 확대하는 등 양국 간의 경제적 연결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은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오늘 정리한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은 포스팅 작성일 시점에서 가장 최신 정보를 확인 후 정리하였습니다만 향후 사정상 변할 수 있으니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가장 최신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은 포스팅 본문에 남긴 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대만과 한국과의 수출입 현황 및 수출입 품목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