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 포스팅은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대만 수도, 면적, 인구, 민족, 언어, 종교, 기후 총정리
대만 무역 통관 절차, 주의할점, 주요 통관업체, 포워딩업체 총정리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는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정리된 자료임을 알려드립니다. 보다 최신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에 대한 자료는 포스팅 본문에 남긴 대한민국 외교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외교부 홈페이지는 www.mofa.go.kr 입니다.
대만은 아시아의 중요한 경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외환제도와 외환규제는 국가 경제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대만의 외환제도와 외환규제에 대한 이해는 대만으로의 투자나 사업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 및 개인에게 필수적입니다.
대만의 외환제도는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고정환율제도였습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외환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중앙은행과 지정은행들이 외환시장의 수급을 조절하고 환율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외환규제는 외환 거래를 통제하여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외환 시장의 건전성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대만의 외환규제는 연간 거래금액과 건당 거래금액을 기준으로 외환 거래의 제한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초과할 경우 거래 은행을 통해 외환거래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외환제도와 외환규제에 대한 이해는 대만에서의 비즈니스 활동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대만으로의 투자나 사업 진출을 고려하는 경우, 최신 정보를 참고하여 외환제도와 외환규제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한민국 외교부의 자료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
외환 제도 개요
현행은 변동환율제도이나 초기에는 고정환율제도였다.
1961년 6월 대만이 정한 미국달러 대비 대만달러 가치는 1:40이었다.
1978년 12월 외환관리조례를 개정해 고정환율제도를 폐지한 데 이어 1979년 2월 대만 외환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전까지 대만은 미국달러 대비 대만달러 가치를 총 두 차례 높였다. (1973년 2월 1:38, 1978년 7월 1:36)
1979년 2월 이후 외환제도는 중앙은행이 5대 지정은행과 함께 對 고객 시장 수급을 기준으로 환율을 협의·결정했으며 1982년 9월부터는 은행 간 시장 수급을 기준으로 환율을 결정했다. 이 시기의 외환제도를 대만은 중심환율제로 정의하고 있다.
이런 제도 속에 자본계정 자유화는 초기 단계에 불과했지만 대만 경제의 경상수지는 장기적인 흑자를 기록했고 외환 초과공급 문제가 심화했다.
대만달러에 대한 평가절상 압력이 커지면서 대만은 1989년 4월 3일부터 본격적인 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게 됐다.
원칙적으로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변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환율 변동이 심할 경우 중앙은행이 시장질서 유지 차원의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대만은 환율 안정성이 높고 환율 방어 능력도 강한 편으로 평가된다. 대만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0~2021년 기준 대만달러의 환율 변동률 표준편차는 3.3%로 낮은 축에 속했고, 2023년 3월 기준 외환보유고는 5,603억 달러로 세계에서 4번째로 많았다.(중국, 일본, 스위스 다음)
미국 비즈니스환경리스크인텔리전스(BERI)가 발표하는 투자환경 평가항목 중 대만의 외환리스크 평가 순위도 세계에서 3번째,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낮은 곳으로 평가된 바 있다.(2022년 3차 발표 기준)
대만의 외환 제도는 변동환율제도로 현행이며 초기에는 고정환율제도가 적용되었습니다. 1961년 6월에는 대만달러의 미국달러 대비 가치가 1:40으로 정해졌습니다. 그러나 1978년 12월에는 외환관리조례를 개정하여 고정환율제도를 폐지하였고, 1979년 2월에는 대만 외환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에는 대만은 미국달러 대비 대만달러의 가치를 두 차례에 걸쳐 조정했습니다(1973년 2월 1:38, 1978년 7월 1:36).
1979년 2월 이후, 외환제도는 중앙은행과 5대 지정은행이 함께 고객 시장 수급을 기준으로 환율을 협의하고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1982년 9월부터는 은행 간 시장 수급을 기준으로 환율을 결정하였습니다. 이 시기의 외환제도는 중심환율제로 정의되었습니다.
자본계정의 자유화는 초기에는 제한적이었지만, 대만 경제의 경상수지는 장기적으로 흑자를 기록하면서 외환 초과공급 문제가 심화되었습니다. 대만은 이에 대한 대처로 1989년 4월 3일부터 본격적인 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변동환율제도는 원칙적으로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변동되지만, 환율 변동이 심할 경우 중앙은행이 시장질서 유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대만의 환율 안정성은 높고 환율 방어 능력도 강력하게 평가됩니다. 대만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대만달러의 환율 변동률 표준편차는 3.3%로 낮은 수준이며, 2023년 3월 기준으로 외환보유고는 5,603억 달러로 세계에서 4번째로 높았습니다(중국, 일본, 스위스 다음). 또한, 대만의 외환리스크는 세계에서 3번째로 낮은 곳으로 평가되었습니다. (BERI에 따른 2022년 3차 발표 기준)
외환 규제
외국환 입출금 또는 거래신고에 관한 규정(外匯收支或交易申辦辦法)에 따라 외환 거래금액이 연간 또는 건당으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거래 은행을 통해 중앙은행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거래은행에서 외환거래신고서 작성/제출 요망)
연간 거래금액 기준치는 회사/상점이 5,000만 달러, 개인/단체는 500만 달러이며, 건당 거래금액 기준치는 회사/상점이 100만 달러, 개인/단체는 50만 달러, 대만 거류증(유효기간 1년 이상)을 소지한 외국인은 50만 달러, 비거주자는 10만 달러로 차등 적용된다.
외환 거래와 관련해서 대만 중앙은행은 외국환 입출금 또는 거래신고에 관한 규정(外匯收支或交易申報辦法)을 개정했고 2021년 7월 발효됐다. 개정된 규정은 연간 누적 거래금액 상한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유형별 상한 기준을 정해 외환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환차익을 노리고 비정상적으로 행해지는 거래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정상적인 거래에는 불이익이 없다는 것이 대만 중앙은행의 설명이다.
대만으로 달러 송금 시 입금액 상한은 따로 없으나 거래 은행이 유선상으로 입금된 자금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대만에 입금된 달러를 대만달러로 환전할 경우에도 상기 외환 거래금액 기준치에 따라 외환거래신고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 외환거래신고서 양식 다운로드 링크 : https://www.cbc.gov.tw/tw/cp-378-50430-F7FFA-1.html
또는 https://law.moj.gov.tw/LawClass/LawGetFile.ashx?FileId=0000295739&lan=C
외환 규제는 대만에서 외환 거래를 규제하고 조절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를 포함합니다. 외국환 입출금 또는 거래신고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외환 거래금액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해당 거래는 중앙은행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러한 거래는 거래은행을 통해 외환거래신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해야 합니다.
연간 거래금액과 건당 거래금액에는 회사, 상점, 개인, 단체 등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회사와 상점의 경우 연간 거래금액 기준치는 5,000만 달러이며, 개인과 단체의 경우는 500만 달러입니다. 건당 거래금액 기준치는 회사와 상점이 100만 달러, 개인과 단체가 50만 달러입니다. 또한, 대만 거류증을 소지한 외국인은 건당 거래금액이 50만 달러로 적용되며, 비거주자는 10만 달러로 적용됩니다.
2021년 7월에 발효된 외환 규제 개정은 외환 입출금 또는 거래신고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연간 누적 거래금액 상한을 조정하고 유형별 상한 기준을 설정하여 외환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개정은 환차익을 추구하거나 비정상적인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됩니다.
대만으로 달러를 송금할 때에는 입금액 상한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지만, 거래 은행은 입금된 자금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만에 입금된 달러를 대만달러로 환전할 때에도 외환 거래금액 기준치에 따라 외환거래신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외환거래신고서의 양식은 대만 중앙은행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 관련 FAQ
1. 외환제도란 무엇인가요?
- 대만의 외환제도는 외환 거래를 조절하고 규제하기 위한 정책적 체계를 나타냅니다. 이는 대만 정부가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고 외환 시장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2. 외환제도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요?
- 외환제도의 주요 목적은 외환 거래를 통제하여 환율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외환 시장의 건전성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대만의 경제 안정성과 성장을 지원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제공합니다.
3. 외환거래신고서는 언제 제출해야 하나요?
- 외환거래신고서는 외환 거래금액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때 거래 은행을 통해 제출되어야 합니다. 연간 누적 거래금액과 건당 거래금액의 기준을 확인하여 제출 시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4. 외환 거래금액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 외환 거래금액의 기준은 회사, 상점, 개인, 단체 등에 따라 다릅니다. 연간 거래금액과 건당 거래금액에 각각 기준치가 정해져 있으며, 해당 기준을 초과하는 거래는 외환거래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5. 외환 거래금액의 상한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 외환 거래금액의 상한은 대만 정부의 정책에 따라 결정됩니다. 연간 누적 거래금액과 건당 거래금액에 대한 상한은 회사, 상점, 개인, 단체 등에 따라 다르며, 대만 중앙은행이 해당 규정을 발표하여 시행합니다.
6. 외환거래신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외환거래신고서의 작성 방법은 대만 중앙은행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며,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해당 양식을 작성하고 거래 은행을 통해 제출해야 합니다.
7. 외환 거래금액의 초과시 처벌은 어떻게 되나요?
- 외환 거래금액의 초과시에는 대만 정부의 규정에 따라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 은행과의 협조 없이 외환 거래를 진행할 경우 더욱 엄격한 처벌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8. 외환제도 개정은 어떤 목적으로 이루어지나요?
- 외환제도 개정은 대만 정부가 외환 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주요 목적은 환차익을 추구하거나 비정상적인 거래를 방지하고 외환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9. 외환 거래에는 어떤 종류의 제한이 있나요?
- 외환 거래에는 일정한 거래금액을 초과할 경우에 대한 제한이 있습니다. 이는 외환거래신고서를 통해 외환 시장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10. 외환제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 대만 중앙은행 웹사이트에서 외환제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 법규와 규정을 참고하여 외환 거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오늘 정리한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는 포스팅 작성일 시점에서 가장 최신 정보를 확인 후 정리하였습니다만 향후 사정상 변할 수 있으니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가장 최신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는 포스팅 본문에 남긴 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대만 외환제도, 외환규제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